칼리카르파(Callicarpa)의 꿈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더 큰 이미지로 보실 수 있습니다!
-
조성 : 한경국립대학교
작품설명 :
서로 다른 크기의 문(門)이 상호교차하면서 수직적으로 확장하는 구조를 형성하고 있고
각각의 문은 같은 형태의 선형 정원과 쌍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 문들은 창덕궁 후원의 장수문(長壽門)을 재해석한 것으로서 과거와 미래를 잇는
평택의 발전상을 상징하고 그 바탕에 자연과의 공존이 있음을 의미하죠.
선형정원은 각기 다른 특징으로 구성되게 하여 바라보는 시점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비쳐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칼리카르파(Callicarpa)는 총명함과 치유, 번영과 장수를 의미하는 좀작살나무의
학명으로서 보라색의 풍성한 열매가 특징입니다.
동그라미 모꼬지터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더 큰 이미지로 보실 수 있습니다!
-
조성 : 중부대학교
디자인 컨셉 :
동그라미를 메인 컨셉으로 한 정원으로 아이들의 동심, 다국적 다문화의 화합을 상징
(독특한 형태의 개비온가벽과 암석원을 통한 정원안에 어린이를 위한 다양한 아지트 공간 조성)
식재 계획 :
(관목초화 식재구간) 나무수국, 공조팝, 층꽃, 펜스테몬, 꿩의비름, 참억새, 사초류, 좀눈향,
무늬맥문동 등
(기타) 이팝나무, 산단풍, 에메랄드그린, 히어리 등
자연 관찰자의 작업실(세상에서 가장 ‘편안한’ 집)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더 큰 이미지로 보실 수 있습니다!
-
조성 : 계원예술대학교
조성 컨셉 :
① 유한함 : 이 집은 유한함에 집중하며, 자연으로 돌아가는 집을 탐구함(최소한의 물건, 생분해 되는 재료 등 사용)
② 르꼬르뷔제 카바농 : 르꼬르뷔제 카바농 4평집을 모티브로 하며, 자연에서 파생되는 원시적인 집의 건축 자재들과 자연에 어우러지는 집을 고안함
③ 공존의 공간 : 사람과 자연 속의 다양한 존재(동물, 식물 등 자연생물)들이 함께 하며 서로를 배려하는 공간
[실내정원] 정원사의 방(Gardener's ro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더 큰 이미지로 보실 수 있습니다!
-
조성 : 신구대학교
❍ 공간의도 :
‘정원사의 방’이라는 콘셉트를 통해 생활 속 자연의 동반자를 표현하면서 도시 속 컨테이너 공간을 자연의 일부로 전환하여, 휴식·힐링 을 제공하는 새로운 정원 문화를 제안
❍ 디자인 요소
- 중앙 공간 : 곡선형 쇼파를 배치하여 휴식과 체류가 가능한 중심 공간 조성 포장재는 고벽돌을 사용하여 내구성과 안정성 확보
- 천장부 행인 : 고사리류, 덩굴식물로 자연스러운 그늘감 연출
- 바닥부 전시 : 자갈과 저층식물 배치로 숲의 바닥을 형상화
- 색채 포인트 : 녹색 기반 위에 선명한 분홍색·보라색 화초를 넣어 시각적 리듬과 생동감 부여
[실내정원] 테라스의 휴식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더 큰 이미지로 보실 수 있습니다!
-
조성 : 신구대학교
❍ 공간의도 :
도시의 고층 주거 공간 속에서 자연을 가까이 느낄 수 있는 소규모 발코니 정원으로 따뜻한 톤의 화이트의 벽면과 쿠션은 숲의 녹색과 조화를 이루며, 편안한 휴식 공간을 강조
❍ 디자인 요소
- 식재: 관목류, 음지성 실내식물, 행잉 플랜트가 다층적으로 배치되어 공간 깊이감과 풍성함을 형성
- 오브제: 원형 티테이블과 의자, 푹신한 오토만(foot stool)을 배치하여 편안한 휴식과 대화를 유도
- 색채: 자연 녹색과 레드 톤을 중심으로, 가을의 안정감과 시원함을 주는 색채 대비 연출
- 무드: 바닥의 고벽돌과 천장의 전구 조명은 따뜻하면서도 로맨틱한 분위기를 조성
- 메시지: “자연과 도시가 만나는 경계에서, 일상에 편안한 쉼표를 더하다.”